짠 음식, 동물성 지방 절제하고 금연 필수! 식이섬유 많은 채소 등이 도움
우리의 신장은 우리에겐 '콩팥'이 더 친숙한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신장의 모양이 강낭콩을 닮아서 붙은 이름으로 알려졌다. 신장은 등 뒤쪽에 좌우 한 쌍으로 있어 병이 생겨도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 늦게 발견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장은 몸속의 수분, 혈압을 조절하지만 특히 핏속의 노폐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위다. 특히 피를 깨끗하게 하는 여과 기능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다. 이런 중요한 기관인 신장이 나빠지면 어떠한 질병이 발생하는지 알아 보자.
신장이 나빠지면 노폐물 걸러 내지 못해 몸에 독소 쌓여 투석, 이식, 암 발생까지
우리의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노폐물을 걸러 내지 못해 몸에 독소가 쌓이고, 심하면 사망할 수 있어 주의를 해야한다. 특히 신장에 염증이 계속되면 만성 신장병으로 진행해 혈액 투석에 이어 신장 이식, 암까지 생길 수 있어 주의 해야한다. 질병관리청, 국가암정보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신장암은 매년 6천 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해 국내 10대 암일 정도로 환자 수가 많다고 조사됐다. 평소 고혈압과 당뇨병을 잘 관리하고 정기 검진으로 단백뇨와 같은 신장에 손상이 가지 않게 살피는 것이 좋다.
짠 음식 좋아하는 경우 혈압 높고 당뇨 주의
흔히 당뇨병은 혈액을 끈적끈적하게 만들어 각종 노폐물이 모세혈관에 쌓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렇게 쌓인 노폐물로 인해 피를 여과하는 사구체가 망가져 신장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 해야한다. 특히 혈압이 높으면 사구체에 계속 압력이 가해져 혈관에 단백질, 지방 등이 쌓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건강을 위해 소금을 먹어야 한다. 그런데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남은 것을 몸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신장에 과부하가 걸린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하루 소금 섭취량은 5g 이하지만 한국인은 2~3배를 더 먹는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 찌개, 면, 된장, 젓갈 등 소금 함량이 높은 음식을 절제 하는 것이 좋다.
수많은 발암 물질을 포함한 흡연은 신장암의 가장 큰 위험 인자, 간접 흡연 피하세요
흡연자가 피우는 담배 안에 있는 수많은 발암 물질이 신장까지 침범해 암 세포를 발생 시킬수 있다. 과도한 흡연은 신장암(신세포암) 발생의 가장 강력한 위험 인자로 꼽힌다. 특히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신장암 발생 위험이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터를 통하지 않은 담배 끝에서 바로 나오는 담배 연기에 발암 물질이 더 많다고 알려졌다. 특히 거리 흡연, 간접 흡연이 더욱 위험하다. 과거 집안 간접 흡연에 시달린 할머니들의 폐암, 신장암 발생률이 높았던 것이 이러한 요인에 의해서 이다.
튀김, 고기 구이 즐기고 과식이 일상... 서구식 식단 주의
한편 신장 질환도 식단이 서구화되면서 크게 늘어난 경향도 무시 할 수 없다. 서구식 식단은 동물성 지방을 지나치게 많이 먹고, 튀기거나 탄 육류, 고열량 음식 등을 자주 먹으면 신장암 위험이 증가 시킬수 있어 주의 해야 한다. 특히 높은 온도에서 고기나 생선 등을 바짝 구우면 발암 물질인 HCAs(헤테로사이클릭아민)이 발생한다. 또한 신장암의 20% 정도는 비만과 관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지나치게 살이 찌면 몸속에서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이 상승하고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가 활성화되면서 신장암 위험을 높이는 이유중에 하나로 꼽히고 있다.
신장병 증상.. 혈뇨는 신장병이 꽤 진행된 경우
신장병은 대부분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신장암도 건강 검진의 복부 초음파 검사를 할 때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옆구리 통증, 혈뇨, 옆구리 또는 상복부에서 덩어리가 생긴 것 등이 신장암의 증상이지만, 이는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신장병을 예방하기 위해 몸속에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 과일을 자주 먹는 게 예방에 좋다. 다만 신장병이 있으면 채소 등의 칼륨에 주의 해야한다. 신장병은 혈액과 소변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단 중 피가 섞인 소변, 단백뇨가 있는지 확인하고, 피 검사를 통해 혈청 크레아티닌과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족력이 있으면 신장병에 대해 더 신경 써야 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