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연구팀 “스무살 전 흡연 시작…흡연을 시작한 나이가 어릴수록 금연 성공률 30% 떨어졌다” (The younger the age at which smoking started, the 30% drop in success rate)
일본 국립병원기구 교토의료센터 연구팀, 유럽심장학회 회의서 발표
Image by wirestock on Freepik
일본 연구팀 “담배 구매 가능 연령 22세 이상으로 높여야” 흡연 연령 상향 주장
일본 국립병원기구 교토의료센터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10대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경우 니코틴 의존도가 높아지고, 금연 성공 가능성도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본 국립병원기구 교토의료센터 하세가와 코지 박사팀은 2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 회의(ESC Congress 2023)에서 청소년 흡연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담배 구매 가능 연령을 22세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흡연 연령 상한을 제안했다.
또한 연구팀은 금연클리닉 참가자 1382명(여성 30%, 평균연령 58세)을 대상으로 흡연 시작 연령과 니코틴 의존도, 금연 사이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루 흡연량은 호흡 중 일산화탄소 수치로 측정, 금연은 ‘7일간 담배를 피우지 않고 호흡 중 일산화탄소 수치가 7ppm 미만’인 경우로 연구 기준을 정했다. 또한 니코틴 의존도 조사는 파거스트롬 니코틴 의존도 테스트(FTND 10점 만점)를 연구 기준으로 정했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 20세 이전에 흡연을 시작한 그룹(556명)은 하루 흡연량이 25개비로 20세 이후 흡연 시작 그룹(826명, 22개비)보다 많은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이어 호흡 중 일산화탄소 수치와 니코틴 의존도도 20세 이후 그룹은 16.5ppm에 6.3점인 것에 비해 20세 이전 그룹은 19ppm에 7.4점으로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연구팀은 니코틴 의존도 조사(FTND)를 흡연 시작 나이 17세 이하부터 22세 이후까지 4개 그룹으로 나눠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FTND 점수가 17세 이하 흡연 시작 그룹의 경우 7.5점, 18~19세 그룹은 7.2점, 20~22세 그룹은 6.7점, 22세 이상 흡연 그룹은 6.0점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또한 흡연 시작 연령이 낮을 수록 니코틴 의존도가 크다는 점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연에 성공할 확률도 흡연 시작 연령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
이번 연구로 금연클리닉에 참여해 금연에 성공할 확률도 흡연 시작 연령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중 20세 이전 흡연 시작 그룹의 금연 성공률은 46% 이하로, 20세 이후 그룹(56%)보다 낮게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나이 등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20세 이하 그룹의 금연 성공 가능성이 20세 이후 그룹보다 30%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하세가와 박사는 “이 연구는 일찍 흡연을 시작하는 게 니코틴 의존도 상승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담배 구매 가능 법적 연령을 22세 이상으로 높이면 니코틴 의존자 수와 담배로 인한 건강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흡연 연령의 상한에 대해 말했다.
앞서 유럽심장학회에 따르면 많은 국가가 담배 구매 가능 연령을 18세로 정하고 있고, 일부 국가는 아예 연령 제한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연구에 앞서 매일 담배를 피우는 성인 10명 중 9명은 18세 이전에, 거의 대부분(99%)은 26세 이전에 흡연을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학회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2020년 기준 전세계 인구 5명 중 1명 이상이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연자의 절반 이상이 담배로 인해 죽음에 이르고, 50세 이하 흡연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은 같은 연령대 비흡연자보다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흡연으로 인한 질병이 심각한것으로 보고 됐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