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에 오랜만에 늦잠 잤더니… 머리가 깨질 것 같다면 커피를 마셔보자. 두통이 생기는 이유는? (headache after sleep)

주말에 늦잠을 자면 두통이 생기는 이유

수면후 두통 발생
출처 Freepik

주말에는 평일에 쌓인 피로를 풀려고 '늦잠'을 자는 경우들이 많다. 하지만 늦잠을 잔 후 유독 머리가 지끈거리며 아픈가 아픈 사람들이 있다. 왜 오랫동안 자면 머리가 아플까? 이유에 대해서 알아 보자


이렇게 머리가 아픈 이유는 편두통의 일종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두통은 유전적으로 편두통 소인이 있는 사람은 몸의 항상성이 깨졌을 때 두통을 쉽게 느낄수 있다. 이러한 편두통은 규칙적인 수면 패턴에서 벗어나 갑자기 많은 잠을 자면 뇌가 우리 몸의 항상성이 깨진 것으로 인식해 두통을 일으킨다. 항상성이 깨지면 이를 관장하는 뇌 시상하부가 신호를 감지하고 두개골·뇌막 등에 분포된 신경들을 활성화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뇌 신경들은 혈관을 둘러싸고 있어, 혈관을 팽창시키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평소와 달리 낮에 과도한 낮잠을 잤을 때도 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수면 패턴 급변이 생겨 발생하는 두통으로, 이러한 편두통이 생겼을 때는 커피를 마셔보는 것이 두통을 사라지게 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이러한 커피 속에는 카페인이 팽창된 혈관을 수축시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수면 패턴이 변하지 않았는데도 주말마다 두통이 생긴다면...


또한 수면 패턴이 변하지 않았는데도 주말마다 두통이 생기는 사람도 커피를 마셔보는 것도 두통을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커피를 마시는것은 평일에 규칙적으로 마시던 커피를 주말에 안 마시면서 생긴 카페인 금단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평소 카페인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뇌혈관이 다소 수축된 상태로, 늘 커피 마시던 시간에 커피를 섭취하지 않으면 뇌혈관이 확장되면서 두통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 커피를 마시면 뇌혈관이 다시 수축되면서 통증이 줄어드는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실제 커피를 마신 후 한 시간 이내로 증상이 사라지면 카페인 금단 증상이 원인이었을 확률이 높다. 카페인 금단 증상을 줄이고 싶다면 평소 마시는 커피의 양을 천천히 줄여나가는 게 좋다. ​카페인 음료와 디카페인 음료를 혼용해서 마시거나, 커피 속 에스프레소 샷 수를 줄이는 식으로 마시는것이 좋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