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무리한 운동 후 생긴 근육통 '폼롤러, 스트레칭'으로 풀면 효과 (good for relieving muscle pain)

무리한 근육 운동으로 찾아 오는 근육통에 폼롤러, 스트레칭이 좋다




일상 생활 중 오랜만에 운동을 하거나 유독 강도 높은 운동을 한 날에는 근육통이 찾아 온다. 강도 높은 운동 후 서서히 나타나는 통증을 '지연성 근육통'이라 한다. 이러한 지연성 근육통은 보통 운동 후 12시간 내외가 지나면 발생하며 24~48시간 사이에 통증이 가장 심하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지연성 근육통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증을 완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 보자.

근육통이 찾아 오면 폼롤러 사용해 피로물질 배출하는 게 통증 완화에 도움


이러한 지연성 근육통을 완화하려면 운동 직후 폼롤러를 사용해 근육에 쌓인 피로 물질을 빠르게 제거헤 주는 것이 근육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근육통은 평소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쓰면서 근육과 그 연결조직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조직에 손상이 생기면서 지연성 근육통이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이런 근육통엔 폼롤러를 쓰면 근막(근육을 덮는 얇은 막)을 압박해서 근육 내에 쌓인 물질을 내보내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어 근육통 완화에 좋다. 폼롤러를 사용하면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이 더 원활히 갈 수 있게 돕고, 근육이 다시 회복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하지만 폼롤러로 너무 강하게 문지르면 오히려 통증이 심해지거나 멍이 들 수 있기 때문에 한 부위만 너무 오래, 강하게 문지르지 않는것이 좋다.

가벼운 스트레칭으로도 근육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지연성 근육통을 완화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통을 빠르게 해소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스트레칭을 할 때 아픈 근육을 10초 정도 천천히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3회 반복하는 식의 반복적인 동작을 해준다. 예를 들면 이두근과 삼두근 운동을 해 팔에 근육통이 왔다면 팔을 뻗으면서 스트레칭을 해 근육통을 완화하는 방법을 쓴다. 이외에도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같은 가벼운 유산소 운동도 혈액 순환을 도와 지연성 근육통을 빠르게 해소하는데 도움을 준다.

무리한 운동으로 해소하려다간 근육 상처 악화가 올수 있어 주의


이러한 지연성 근육통이 너무 심하면 근육이 풀어지며 완전히 통증이 없어질 때까지 운동을 쉬는 것이 근육 건강에 좋다. 근육통을 무리한 운동으로 풀겠다고 무리하게 운동하다간 근육의 상처가 심해지고 염증이나 근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해야 한다. 무리한 운동으로 지속적으로 근육에 자극이 가해지면 근육이 뭉치고 유착돼 횡문근융해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횡문근융해증은 근육 세포막이 손상돼 마이오글로빈(근육 세포 내에서 산소와 결합해 근 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산소결합단백질), 칼륨, 인 등이 빠져나와 신장이나 심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