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감정변화를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 노년기 우울증(depression in old age)이 더 무서운 이유

노년기 우울증

노년기는 딱히 이유가 없이도 우울한 경우가 많다.

 
많은 노년기의 이들이 우울한 감정변화를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년기 우울증이 더 위험하다고 강조한 이유다.

특히 노년기 우울증에 걸리면 초기에는 특별한 감정변화 없이 잠이 오지 않고, 입맛이 없어 밥도 먹기 싫으며, 특히 만사가 귀찮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몸 이곳저곳이 아픈데 막상 병원에 가서 검사하면 아무런 이상이 없기 때문에 무심코 넘어 갈수 있다. 또한 집중력 감퇴와 함께 기억도 흐릿해지면서 치매가 아닌가 의심하기도 한다.

또 다른 증상으로 두통‧복통‧소화불량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내과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 때문에 ‘주위의 이목을 끌기 위해 꾀병을 부린다’는 가족들의 오해를 사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마치 가면을 쓰고 있는 것처럼 우울함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면성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다.

한편 신철민 고려대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가면성 우울증은 스스로 우울하지 않다고 말할 뿐만 아니라 표정에서도 우울한 느낌을 파악하기 어렵다“며 ”멀쩡한 겉모습과는 달리 식욕부진‧소화불량‧두통‧근육통‧불면증 등의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가면성 우울증’의 특징“이라고 가면성 우울증의 증상에 대해 전했다.

가면성 우울증으로 대표되는 노년기 우울증은 다른 질환에 비해 치료효과가 크다.


노년기 우울증은 급성기 치료로 70~80%가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 치료로는 약물치료‧인지행동치료 등이 효과적이며, 약물 부작용이 종전에 비해 많이 감소했기 때문에 경도의 우울증부터 약물치료를 권하고 있다.

특히 신 교수는 “악물 치료에는 항콜린제 부작용에 취약한 노인의 특성상 삼환계 항우울제보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를 많이 사용하고,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억제제는 통증에도 효과가 있어 통증을 동반한 노인에게 처방한다”며 “간혹 환자 중에는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할까봐 우려하는 분이 계신데, 꾸준한 치료 후에는 약을 먹지 않아도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라며 꾸진한 치료에 대해 강조했다.

노년기 우울증은 모든 질병과 마찬가지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규칙적인 생활과 균형잡힌 식습관을 유지하고,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다. 부정적인 생각은 없애고 즐거운 생각을 하려는 노력이 노년기 우울증에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환자 가족들의 세심한 관심도 중요 하다.

끝으로 신 교수는 “검증되지 않은 약물은 우울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일은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치료받는 것”이라며 "증상이 호전됐다고 해서 환자가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지 않도록 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치료를 위해 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강조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