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섭취 줄이면, 심장질환 위험 20% 줄어든다.(Reducing salt intake reduces the risk of heart disease by 20%.)

소금을 줄이면 심혈관질환 위험을 20% 가까이 줄일 수 있다


우리가 먹는 음식에 넣는 소금을 줄이면 심혈관질환 위험을 20%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2006∼2010년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40~70세 성인 약 50만명의 자료를 사용해 이들에게 얼마나 자주 음식에 소금을 넣는지에 대해 질의 조사했다.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연구팀은 이들에게 얼마나 자주 음식에 소금을 넣는지를 묻고 전혀/거의 안 넣음, 가끔 넣음, 대개 넣음, 항상 넣음 중 골르는 4가지 질의로 진행됐다. 연구 조사에는 심방세동 질환이 있는 사람은 제외했다. 연구 조사에 11년간 응답자들을 추적해 소금을 넣은 음식이 이들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결과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 음식에 소금을 ‘전혀 넣지 않는다’는 사람은 소금을 ‘항상 넣는다’는 사람보다 심방세동이 생길 확률이 18%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금을 ‘가끔 넣는다’는 사람은 소금을 ‘항상 넣는다’는 사람보다 심방세동 확률이 15% 더 낮은 것으로 연구 결과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 소금 섭취량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에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금을 ‘대개 넣는다’는 사람들도 ‘항상 넣는다’는 이들보다 심방세동 발생 확률이 1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주저자인 박윤정 경북대병원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소금을 음식에 적게 넣을수록 심방세동 위험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연구 결과에 대해 전했다.


심방 세동이란?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상태로 부정맥의 일종이다. 심방세동은 대부분 승모판질환과 같은 판막질환이나, 관상동맥질환, 고혈압성 심장질환, 비후성 혹은 확장성 심근증(심부전증), 선천성 심질환 등 기질적인 심장질환과 함께 동반 되는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제임스 레이퍼 영국심장재단 교수는 “소금을 너무 많이 먹으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이 연구는 우리 모두가 하루에 약 1티스푼(6g) 이하의 소금을 먹도록 하는 (영국)정부의 권고를 지킬 때 건강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며 소금을 권장량을 섭취 하도록 강조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하루 5g 이상 소금을 섭취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번 소금과 심장 질환의 관계에 대한 이 연구결과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유럽심장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