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로 인해 손 쥐는 힘, 예전 같지 않다면 ‘근육 강화’ 더 오래 건강 장수 할 수 있어 (Hand gripping strength, if not the same as before)
노화로 인한 골다공증 심장병 등 각종 질병 살피며 노화의 지연과 예방에 노력 해야 한다.
Image by wavebreakmedia_micro on Freepik
손 쥐는 힘(악력)이 떨어져 악력을 높이려면 다양한 근육 강화 운동을 통해 개선 할수 있다. 이런 악력 운동에는 악력기 운동과 수중 에어로빅, 걷기, 스트레칭 등이 여러가지 운동이 포함된다.
특히 악력(손 쥐는 힘)이 부쩍 약해졌다면 노화로 인한 건강에 각별히 신경을 기울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악력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악력이 약해지면 제2형당뇨병, 심장병, 각종 암, 알츠하이머병 등 치매, 우울증, 골다공증 등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 기능에 장애가 생기고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러한 악력을 활력징후(Vital sign) 항목에 포함시키자는 주장도 제기 되고 있다. 의사들은 노화로 인한 환자의 활력징후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는 체온, 체중, 심박수, 혈압 등이포함된다. 손 쥐는 힘의 징후를 통해 환자의 몸 상태를 대략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징후를 알아 볼수 있는 악력 검사는 쉽고 빠르며 비침습적으로 알아 볼수있다. 악력을 측정하기 위해선 값싼 악력 측정기(핸드그립 동력계)와 의자만 있으면 된다.
악력은 전신 근력의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악력은 건강한 노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 마크 피터슨 부교수(물리의학, 재활연구)는 "근력으로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근력이 약해졌다면 건강이 예전 같지 않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건강포털 '웹엠디(WebMD)'와의 인터뷰에서 이와 같이 전했다.
이러한 악력에 대한 종전 연구는 대부분 노년층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됐다. 하지만 청소년과 어린이의 심혈관병과 당뇨병 위험의 예측을 위해 악력을 연구한 사례도 많이 있다.
미시간대 연구팀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징병제를 채택한 스웨덴에서 남성이 군 복무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신체검사 항목에 포함된 악력 테스트의 데이터를 찾아냈다. 여기에는 100만명 이상의 악력 데이터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징병검사를 받은 이들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10대 후반에 악력이 가장 약한 편에 속하는 남성은 악력이 중간 정도인 남성에 비해 50대 중반에 사망할 확률이 2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력이 가장 약한 남성의 자살률은 20~30%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악력 강하면 더 오래 건강장수 할 수 있어"
이러한 악력에 관한 연구에 연구팀은 "악력이 강한 사람이 더 오래,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에는 다윈의 적자생존론이 깔려 있다"고 전했다. 고대 인류는 손 힘이 강하다는 뜻은 사냥, 싸움, 보금자리 짓기, 출산과 양육 등 생존에 유리하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고대의 강자는 여성에게 매력적으로 보였고 아이를 더 많이 임신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그들 자손은 유전과 영양 덕분에 더 강하고 건강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노화로 인해 나이가 들면 손 쥐는 힘도 점점 더 약해진다. 약해진 근육을 운동으로 이를 상당분 극복할 수 있다.
초기 연구에선 노인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악력을 사용한 연구가 있었다. 노인의 영양 상태는 병이나 수술에서 살아남는 능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것으로 보인다. 노인이 건강과 활력의 유지에 필요한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면 체력이 쉽게 떨어진다. 이러한 체력 감소로 인해 감염, 입원, 수술 후 심한 합병증으로 이어질수 있다. 또한 오랜 시간 병원 신세를 지고, 독립성을 잃어 사망의 위험을 높이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DNA 메틸화 속도 빨라지면 치매, 당뇨병, 만성 염증, 조기 사망 등 위험
DNA 메틸화는 생물학적인 프로세스로서, DNA 분자 내에 메틸기(-CH3)를 첨가하여 발생하는 화학적 변화를 말한다. 이런한 DNA 메틸화가 가속화하면 노화와 관련된 만성병에 걸릴 위험과 일찍 사망할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만성병에는 알츠하이머병, 제2형당뇨병, 만성염증 등의 질병도 포함된다.
한편 미시간대 연구팀은 낮은 악력이 세포 수준에서 더 빠른 노화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피터슨 부교수는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피우지 않는 사람에 비해 메틸화 패턴이 뚜렷하게 달라진다. 환경오염에 더 많이 노출된 사람도 마찬가지다"라며 흡연과 환경 오염의 관계에 대해서도 말했다. 특히 손을 쥐는 힘이 떨어지면 DNA 메틸화가 촉진되고 생물학적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스다코타주립대 라이언 맥그래스 조교수(건강영양운동 과학)는 "근육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장애의 위험 신호"라고 전했다. 이어 "악력 검사로 근육기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체기능이 많이 약해질 환자를 찾아낼 수 있다"고 악력과 신체기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러한 악력 검사는 팔을 옆구리에 대고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린 채 의자에 앉아 악력 측정기를 힘껏 쥐면 측정이 가능하다. 문제는 이러한 악력 측정기의 정확도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쥐는 힘의 발달 속도(힘을 얼마나 빨리 표현할 수 있는지 측정), 반복성(첫 번째 악력에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악력까지 얼마나 힘이 줄어드는지 측정), 비대칭성(오른손과 왼손 악력 사이의 격차가 얼마나 큰지 측정)에 대한 정교한 측정법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팀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성인의 악력이 약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남성은 26kg, 여성은 16kg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수치는 단순하며, 나이가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남성은 20대 후반에 최고 수준의 악력을 보이며 중년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20대에 정점을 찍고 50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동력계의 연령별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화로 인한 근력 손실을 막기 위해 손·팔뚝 운동, 수중 에어로빅, 스트레칭, 걷기 등으로 '근육의 힘' 강화
이러한 악력 검사는 근력강화 운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사람에게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해당하는 인구는 전체의 약 10%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검사를 받는 사람의 체격도 중요한 요소이다. 악력 또는 모든 근력 측정이 건강과 기능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이해하는 맥락에서 체질량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피터슨 부교수는 '표준화 악력'으로 악력(kg)을 체중(kg으로 나눈 값을 표준화로 내세웠다. 이에 남성의 표준화 악력 비율이 0.7보다 크면 상위에 속하며, 여성의 경우 0.50보다 크면 상위에 속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약력 검사 결과 악력이 약하다고 판단되는 사람은 운동에 힘써야 한다. 손과 팔뚝의 운동과 모든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두루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중 에어로빅, 걷기, 스트레칭과 각종 근육강화 운동(저항 훈련)을 꾸준히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