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꺼운 각질 건선(乾癬) 이란?
건선은 피부의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으로, 피부의 표면에 붉은 반점이나 비늘 모양의 이상적인 피부 변화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이 질환은 면역 시스템의 과도한 반응에 기인하며,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소가 발병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졌다.
건선과 포도막염이 실명을 일으킬수 있다.
이러한 건선 중증도가 높을수록 눈에 '포도막염'이 생길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포도막염은 실명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럽피부과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러한 건선에 대해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피부과 윤상웅·최종원·김보리 교수 연구팀(공동저자 안과 최승우 임상강사, 피부과 김민재 전공의)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토대로 2011~2021년 건선으로 진단된 20세 이상 환자 32만여명에서 포도막염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8월 16일 분석 결과를 내놨다.
또한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기반으로 2011~2021년 건선으로 진단받은 20세 이상 환자 32만여명을 대상으로 건선 없이 두드러기만 앓는 대조군 64만여 명의 포도막염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실시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 건선 환자에서 포도막염의 발병 위험도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밝혀냈다. 그중에서 건선 중증도가 높을수록 포도막염, 앞포도막염, 재발성 포도막염 등의 위험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도 밝혀 냈다.
또한 실명 위험이 가장 높은 포도막염 유형인 '전체 포도막염(Panuveitis)'의 경우 이번 연구에서 건선이 있고 없고에 따른 발병률 차이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건선관절염을 동반한 건선에서는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해 1000인 년 당 0.44명의 발병률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000명을 1년간 관찰했을 때 0.44명꼴로 환자가 발생한다는 의미로, 대조군인 비건선 환자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어진 연구 결과 건선 첫 진단 후 3년 내 포도막염 재발할 확률이 가장 높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러한 포도막염의 진단·치료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협진의 '골든타임'으로 볼 수 있어 치료 지침 마련에 크게 이바지할 것을 내다 봤다.
건성과 포도 막염의 연관성
앞서 덴마크·대만 등에서 건선·포도막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가 이뤄졌다. 하지만 전체적인 연관성을 확인했을 뿐 건선 중증도에 따른 포도막염의 발병 패턴과 유형을 정밀하게 규명하지는 못 했다. 우리나라 역시 관련한 대규모 연구 자체가 없어 한국인에 최적화한 치료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건선과 포도막염의 연관성에 대해 우세준 교수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한국인 건선 환자에서 포도막염의 위험성을 자세하게 분석한 연구"라며 "건선 환자들은 시각적인 문제가 발생하는지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확인할 것을 권하며, 특히 건선 중증도가 높거나 관절염을 동반할 경우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며 건선과 포도막염에 주의를 당부했다.
또한 윤상웅 교수는 "한국에서는 평균적으로 약 35세를 전후로 건선이 초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면역학적 이상으로 인한 질환인 만큼, 포도막염을 비롯한 합병증 위험이 커 가볍게 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건성과 포도막염의 위험성도 강조했다.
한편, 건선은 한 해 병원을 찾은 환자 수만 16만 명에 이르며 원인은 면역 체계의 과도한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선은 특히 실명의 원인으로 꼽히는 '포도막염'을 동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포도막염 역시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부 환자를 제외하면 대부분 자가면역질환 등 면역 체계의 이상과 관련 깊다는 게 특징으로 꼽힌다. 이러한 포도막염은 고령에서 주로 발생하는 백내장·녹내장과 달리 나이·성별에 상관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선과 포도막염 증상을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으로 진행할 위험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