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수분 보충을 위해 신선한 채소와 과일 잔류 농약 깨끗이 씻어내려면?(Washing off pesticide residues from vegetables and fruits)
채소와 과일 잔류 농약 깨끗이 씻어내려면?
무더운 여름, 수분 보충과 비타민을 섭취하기 위해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많은 사람들이 챙겨 먹는다. 하지만 잔류 농약이 혹여 건강을 해치진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채소와 과일에 남아있는 농약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까? 방법에 대해 알아 보자.
흐르는 깨끗한 물에 3회 이상 씻어 주자
채소에 잔류한 농약을 제거하기 위해선 식초 물, 베이킹소다 물, 소금물 등을 이용해야 한다고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깨끗한 물로 씻어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실제 광주시 보건 환경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상추, 깻잎, 쌈추, 시금치, 쑥갓 5종을 대상으로 같은 농도의 농약을 뿌린 뒤 흐르는 물, 식초, 베이킹소다, 초음파 세척기, 알칼리성 전해수, 세제, 데치기, 끓이기, 담그기 9가지 방법으로 세척했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되는 클로르페나피르, 루페누론, 플루다이옥소닐 등 10종의 농약 검출률을 비교 한 결과, 5종의 채소 모두 흐르는 물을 사용해 세척했을 때 평균 77.0%의 잔류 농약이 제거되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 났다.
한편 열을 가하는 방법인 데치기와 끓이기는 각각 54.9%, 59.5%의 제거율을 보여 주었다. 나머지 방법의 제거율은 43.7∼56.3%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연구 결과가 알려졌다.
특히 채소는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씻어주면 충분히 잔류 농약을 제거할 수 있는것으로 알려 졌다. 특히 배추와 양배추는 겉표면에 잔류 농약이 남아 있을 수 있어 겉잎을 2~3장 떼어내고,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이 좋다. 오이는 스펀지로 닦으며 흐르는 깨끗한 물에 헹궈주면 농약 성분이 제거 된다.
껍질째 먹는 과일은 담금물로 깨끗히 세척해야
과일의 경우 세척할 때 더 주의를 해야 한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되는 과일 20개 품목(114건)의 잔류농약을 조사한 결과, 과일 껍질의 잔류농약 검출률이 과육의 10배 이상인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과일 역시 깨끗한 물로 씻어 먹으면 어느 정도 제거되지만, 농약을 아예 피하고 싶다면 무농약 과일을 먹는 게 가장 안전한 것으로 나타 났다. 무농약 과일을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물로 세척을 꼼꼼히 하고, 껍질은 최대한 벗겨 먹는것이 좋다고 한다.
포도나 블루베리처럼 껍질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는 담금물 세척을 해야 한다. 담금물 세척이란 수돗물을 그릇에 받아 채소를 한꺼번에 넣고 손으로 저으면서 씻는 세척법을 이야기 한다.
흐르는 물에 씻는 것보다 물에 통째로 과일을 담그면 물과 식품이 접촉하는 부위가 커져 세척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 졌다. 이어 1분 동안 물에 담그고, 흐르는 물에 다시 30초 정도 헹구면 깨끗이 세척 된다.
또는 식초와 물을 1 대 10의 비율로 혼합해 씻거나, 식품용 살균제를 희석한 물을 사용하는 방법도 대안이 될수 있다. 식품용 살균제를 사용한 뒤에는 깨끗한 물로 충분히 헹궈 살균제가 식품에 남아있지 않게 하는것이 좋다.
특히 사과, 배 등 꼭지가 있는 과일은 꼭지 근처 움푹 들어간 부분에 농약이 잔류하거나 먼지 등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꼭지 근처는 조금더 세심한 세척을 해야 한다.
댓글
댓글 쓰기